안녕하세요 :)
이번 시간에는 스쾃을 하기 위한 조건 중 마지막 단계인 '호흡'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유연성
2. 안정성
3. 호흡 (킁카 킁카)
바로 전 칼럼인 '안정성'에 관한 글에서 '브레이싱'이라는 운동에 대해서 배웠죠?
호흡은 이 브레이싱과도 연관이 있는데요.
사실 호흡은 스쾃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모든 운동에서 매우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러나 이번 칼럼이 스쾃에 관한 내용인 만큼 스쾃에서 중요한 호흡법을 소개해보겠습니다.
보통 헬스장에 가면 어르신들이나 젊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웨이트를 하면서 허리 보호 벨트를 차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무게를 드는 것이 불안하여 차는 경우가 많은데요.
꼭 벨트를 찬다고 해서 안 좋은 것도 아니고 안찬다고 해서 좋은 것도 아닙니다.
그러니까 제가 드리는 설명을 잘 들어보시고 나중에 운동을 할 때 각자 결정하셔서 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위 사진처럼 초초초 고중량을 드는 경우에는 대게 숙련된 체육인들도 허리에 벨트를 차고 중량을 들기 마련입니다. 왜냐하면 초초초 고중량 같은 경우에는 우리가 호흡을 통한 복압 컨트롤을 한다고 해도 한계가 분명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경우는 극히 예외적인 경우이고, 우리 같은 일반인들은 복압을 통해 충분히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전 편의 '브레이싱'을 통해 호흡에 대한 내용을 생략할 수 있었지만...... 호흡은 워낙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이번에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살짝 해부학적인 내용부터 말씀드리려고 하는데요.
위에 보시면
Multfi~뭐시기 (다열근)
Trans~뭐시기 (복횡근)
Diaph~뭐시기 (횡격막)
Pelvic~뭐시기 (골반 기저근)
스펠링 다치기가 거시기해서 생략 좀 했습니다. (그래도 저 학부 때 기능해부학이랑 해부학 A 맞음 ㅋㅋ, 생리학은 잼병이었습니다 히히)
여하튼 저 배가 풍선이라고 생각하시면 좀 더 편합니다. 저 풍선 안에 호흡을 통해서 공기를 빠방하게 채워 넣으면 저기 당연히 옆에 딸린 척추도 쉽게 흔들리지 않겠죠? 역도선수들이 스쾃이나 고중량을 다룰 때 다 저런 원리를 이용한 호흡을 하는 것입니다.
https://youtu.be/3xFm9q1HBKY
지난 시간에는 누워서 브레이싱을 했었죠?
자, 이제는 스탠딩 자세에서도 브레이싱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스쾃 동작을 수행할 때 우리 몸통을 단단하게 만들 수 있죠!
자 아래 동영상을 보면서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C3vRa2L7B8
제가 유튜브에서 양질의 동영상이 있으면 선별해서(제가 뭐라고 선별을... ㅋㅋㅋ) 글 쓰는 곳에 올리겠습니다. 여러분들 보기 편하시게..
그럼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
다음 편부터는 이제 실전이군요 ㅎㅎ
그럼 오늘도 정력을 위해 정진하는 하루!!!
'정력과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루, 발기부전...] 정력과 운동 #8 (2) | 2022.12.22 |
---|---|
[조루, 발기부전...] 정력과 운동 #7 (3) | 2022.12.21 |
[조루, 발기부전...] 정력과 운동 #5 (0) | 2022.12.19 |
[조루, 발기부전...] 정력과 운동 #4 (0) | 2022.12.19 |
[조루, 발기부전...] 정력과 운동 #3 (2)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