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제가 저번 칼럼에서 스쿼트를 하기 위한 세 가지 조건들에 대해서 나열했었는데요.
1. 유연성
2. 안정성
3. 호흡
그중 첫 번째인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들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참고로 이번 글부터 보시면 이해가 조금 어려울 수 있으니 칼럼을 순서대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여러분! 유연성 하시면 뭐가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제가 친구들한테도 물어보고 부모님께도 여쭤본 결과 이구동성으로 스트레칭이라고 말씀하시네요.
물론 이 말이 틀린 말이 절대 아닙니다. 스트레칭을 통해 뻣뻣한 근육을 늘리는데 일조할 수 있겠죠!
근데 제가 오늘 소개해 드릴 내용은 스트레칭보다는 유연성 운동에 가깝습니다. 스포츠의학적 관점으로 스트레칭만을 통해 근육의 길이를 늘이는 것은 사실상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근육이 늘어나기 위해서는 상당한 부하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을 늘이는 것은 일시적인 효과에 가깝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스트레칭이 아닌 유연성(가동성) 운동에 대해서 배워볼까요?
이번 시간에 배울 유연성 운동
1. 발목 유연성 운동
2. 고관절 유연성 운동
사실 스쿼트를 하기 전에 이 두 가지 운동만 제대로 해줘도 여러분의 유연성 즉 가동성은 어느 정도 확보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 저는 개인적으로 스트레칭이나 유연성 운동을 하지 않고 바로 운동에 진입합니다. 왜냐하면 이미 유연성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여러분들도 만약 안정적인 스쿼트 자세가 나오신다면 바로 운동하시기를 권합니다.
치타는 사냥하기 전에 스트레칭을 하지 않습니다.
강아지는 산책하기 전에 스트레칭을 하지 않습니다.
사람도 이미 충분한 유연성을 갖고 있다면 맨몸이나 빈 봉을 통한 워밍업 정도면 충분합니다.
1. 발목 유연성 운동 (주인장이 출연합니다... 양해를 부탁..)
하는 법
- 무릎을 꿇고 한쪽 발바닥을 땅에 붙인다.
- 이때 발바닥은 땅에서 절대 떨어지면 안 됨!
- 양손으로 바닥을 짚는다.
- 2번째 3번째 발가락 사이로 무릎을 보낸다는 느낌으로 왔다리 갔다리 해주시면 끝!
영상을 통해 느낌을 찾아보세요 :)
자! 이제 발목 유연성을 확보했다면 골반으로 넘어가 봅시다.
2. 골반 유연성 운동
하는 법
- 어깨너비로 차렷 자세
- 발 끝을 30~45 도 사이로 벌린다. 독자분들 편한 대로 하시면 됩니다. (즉 개인마다 각도가 다 상이함)
- 앉는다.
- 팔꿈치를 양 무릎에 건다.
- 발바닥이 땅에서 떨어지지 않은 채로 팔꿈치를 바깥쪽으로 민다.
- 여기서 가슴을 펴주시면 더 좋지만, 초보자분들은 허벅지 안쪽이 매우 아프실 테니 천천히 해주세요.
영상을 통해 느낌을 찾으시고, 질문 있으시면 댓으로 남겨주세요.
유연성 운동은 이쯤 하고 다음 시간에는 스쿼트를 위한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항상 정력을 위해 정진!
'정력과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루, 발기부전...] 정력과 운동 #6 (0) | 2022.12.20 |
---|---|
[조루, 발기부전...] 정력과 운동 #5 (0) | 2022.12.19 |
[조루, 발기부전...] 정력과 운동 #3 (2) | 2022.12.19 |
[조루, 발기부전...] 정력과 운동 #2 (0) | 2022.12.18 |
[조루, 발기부전...] 정력과 운동 #1 (0) | 2022.11.28 |